태국동향안내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2025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25년 1분기 3.2%보다 둔화된 수치로, 계절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0.6%였으며, 2025년 상반기 전체 성장률은 3.0%로 집계되었다. 한편, NESDC는 2025년 경제성장률을 1.8~2.3%로 전망했다.
<2023년 1분기~2025년 2분기 태국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태국 주요 경제지표
주요 경제기관들은 2025년 태국 경제성장률을 2.1% 수준으로 전망했으며, 태국중앙은행(BOT)은 2026년 경제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최근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 수출 부진, 소비 둔화, 관광 회복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태국의 GDP 성장률을 2025년 1.8%, 2026년 1.7%로 전망했다. 다만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경우 성장률이 각각 2025년 2.2%, 2026년 1.8%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경쟁력 강화는 투자 유치와 경제 활동을 보다 혁신적이고 생산적인 글로벌 가치사슬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태국의 공공 부채는 아직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고령화로 인한 공공 서비스 수요 증가와 성장 촉진을 위한 투자 확대에 따라 지출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과제로 지적됐다.
구분 | 2022 | 2023 | 2024 | 2025 전망 |
실질 GDP | 2.6 | 2.0 | 2.5 | 1.8~2.3 |
민간소비 | 6.2 | 6.9 | 4.4 | 2.1 |
정부소비 | 0.1 | △4.7 | 2.5 | 1.2 |
민간투자 | 4.6 | 3.1 | △1.6 | 1.0 |
정부투자 | △3.9 | △4.2 | 4.8 | 5.2 |
수출 | 6.2 | 2.4 | 7.8 | 5.1 |
수입 | 3.4 | △2.5 | 6.3 | 2.7 |
[자료: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기관명(전망일) | 2025(%) | 2026(%) |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 2.3~3.3 | - |
태국 중앙은행(’25.06.) | 2.3 | 1.7 |
태국 재정정책실(’25.07.) | 2.2 | - |
세계은행(’25.07.) | 1.8 | 1.7 |
국제통화기금(’25.04.) | 1.8 | 1.6 |
카시콘 리서치(’25.09.) | 1.8 | - |
끄룽스리 리서치(’25.09.) | 2.1 | - |
끄룽타이 은행(’25.08.) | 2.0 | - |
[자료: 기관별 홈페이지, KOTRA 방콕 무역관 종합]
교역
태국 상무부의 무역통계자료에 따르면, 태국 수출은 2025년 7월 누계 기준 19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 수입은 195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여 무역흑자 260억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미국이 태국산 제품에 19% 관세를 확정하면서 불확실성이 줄었으며, 이는 예상치 18%보다 다소 높지만 역내 경쟁국과 유사한 수준이어서 경제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NESDC는 올해 경제 운영 과제로 무역 보호주의 대응, 국내 산업 보호, 중소기업 금융 지원 등을 제시했다.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1~7월) |
수출 | 272,006 | 287,425 | 285,074 | 300,740 | 195,433 |
수입 | 267,343 | 301,030 | 288,509 | 305,523 | 195,173 |
무역수지 | 4,663 | △13,605 | △3,435 | △4,783 | 260 |
[자료: 태국 상무부(MOC)]
2025년 7월 누계 교역액 기준 태국의 상위 5개 교역국은 중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대만 순으로 한국은 태국의 수입 9위, 수출 12위를 기록하며 총교역액 기준 13위를 기록했다.
<2025년 1~7월 태국의 상위 5개 교역국>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가 | 수출 | 수입 | 교역액 | 증감률 |
1 | 중국 | 24,548 | 59,164 | 83,713 | 28.5 |
2 | 미국 | 39,708 | 12,333 | 27,374 | 24.2 |
3 | 일본 | 13,702 | 17,395 | 31,097 | 3.9 |
4 | 말레이시아 | 7,636 | 8,534 | 16,170 | 5.4 |
5 | 대만 | 3,295 | 12,219 | 15,514 | -3.8 |
13 | 한국 | 3,497 | 5,602 | 9,099 | 0.7 |
[자료: Global Trade Atlas('25.09.09.), 태국 상무부(MOC)]
HS Code 4자리 기준 2025년 상반기 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컴퓨터, 통신기기, 금, 자동차, 전자집적회로 순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원유 및 역청유, 전자집적회로, 금, 컴퓨터, 천연가스 순이다.
순위 | HS Code | 수출품목 | 금액 | 증감률 |
수출 | 8471 | 컴퓨터 | 11,852 | 78.2 |
8517 | 통신기기 | 6,622 | 23.1 | |
7108 | 금 | 6,599 | 121.5 | |
8703 | 자동차 | 5,666 | △6.2 | |
8542 | 전자집적회로 | 5,464 | 35.1 | |
수입 | 2709 | 원유 및 역청유 | 15,735 | △6.5 |
8542 | 전자집적회로 | 13,622 | 8.3 | |
7108 | 금 | 10,163 | 53.8 | |
8471 | 컴퓨터 | 4,997 | △1.1 | |
2711 | 천연가스 | 4,592 | △5.5 |
[자료: Global Trade Atlas(’25.09.09.), 태국 상무부(MOC)]
물가상승률
태국 상무부(MOC)의 소비자 물가지수(CPI) 지표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의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9% 하락했고 이는 시장 예상치인 –0.70% 하락보다 다소 더 큰 폭이다. 이 수치는 태국 중앙은행(Bank of Thailand, BOT)이 설정한 물가 상승률 목표 범위인 1.0%~3.0%보다 낮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수준으로, 목표 범위 밖에 있다. 한편, 태국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가장 중요한 범주는 식품 및 비알코올 음료(전체의 36%), 교통 및 통신(24%), 주택 및 가구(23%) 순이다. 기타 범주로는 의료 및 개인 관리(6%), 여가 및 교육(6%), 의류 및 신발(3%), 담배 및 주류(1%) 순이다.

태국중앙은행(BOT)은 최근 발표에서 2025년과 2026년의 물가 상승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BOT는 국제 유가 하락과 정부의 전기·연료 보조금으로 인해 에너지 물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2025년과 2026년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각각 0.5%, 0.8%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원자재와 식품 가격 부담이 점진적으로 반영되면서 근원 인플레이션은 2025년 1.0%로 2024년(0.6%)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경제 성장 둔화와 에너지 가격 하락세를 감안할 때, 근원 인플레이션이 크게 가속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구분 | 2024 | 2025 | 2026 |
물가상승률 | 0.4 | 0.5 | 0.8 |
근원 인플레이션 | 0.6 | 1.0 | 0.9 |
[자료: 태국 중앙은행(BOT)]
소비자 신뢰지수
태국 상공회의소대학교(UTCC) 경제비즈니스예측센터(CEBF)에 따르면 2025년 7월 소비자신뢰지수(CCI)는 51.7로 전월(52.7) 대비 하락하며 6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이는 2023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미국의 대태국 관세(36%→19%) 완화에도 불구하고 제3국을 경유한 재수출품에 대한 추가 관세 가능성, 국내 경기 둔화, 정치 불안정 등이 소비 심리를 크게 위축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UTCC는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어 추가적인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2025년 GDP 성장률을 1.7%로 전망해 2024년 2.5%보다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최근 패통탄 친나왓 총리가 전 캄보디아 훈센 총리와의 통화 논란으로 직무가 정지된 정치적 혼란도 소비자 신뢰를 더욱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2024년 7월~2025년 7월 태국 소비자신뢰지수(CCI) 월별 추이>
[자료: 태국 상공회의소대학교(UTCC) 경제 비즈니스 예측센터(CEBF)]
환율
태국중앙은행(BOT)에 따르면, 바트-달러 환율은 2023년 1분기 33.9에서 상승세를 이어가 2024년 2분기 36.7로 정점을 기록한 뒤 하락세로 전환해, 2025년 2분기에는 33.1까지 강세를 보였다. BOT는 바트화가 글로벌 무역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변동성을 겪으면서도, 선진국 통화 완화 정책과 금값 상승, 경상수지 개선 등 요인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절상 압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바트-달러 환율 추이(2023~2025년 2분기)>
[자료: 태국 중앙은행(BOT)]
시사점
태국의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은 2.8%로, 1분기(3.2%)보다 둔화되었으나 상반기 전체로는 3.0%를 기록했다. NESDC는 올해 성장률을 1.8~2.3%로 전망했으며, 세계은행과 IMF 등 주요 기관도 유사한 수준을 제시했다. 미국의 대태국 상호관세가 19%로 확정되며 불확실성은 줄었지만, 수출 둔화와 투자 위축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전자·전기 산업의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이 우려되고, 소비 둔화와 정치 불안정도 내수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공공 부채는 아직 지속 가능한 수준이지만, 고령화에 따른 재정 부담과 낮은 물가 상승률은 경제 활력을 약화시키는 요소다. 결국 하반기 이후 태국 경제는 무역 환경, 투자심리 개선, 정부의 재정·통화정책 대응에 따라 성장세 유지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출처: KOTRA 방콕 무역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85 |
New 뜨랑에 수상비행기 항구 연말에 개항 예정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4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4 |
184 |
New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3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3 |
183 |
New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8.~25.9.12.)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3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3 |
182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9.7.~9.12.)
재태국한인회
|
2025.09.13
|
추천 0
|
조회 22
|
재태국한인회 | 2025.09.13 | 0 | 22 |
181 |
방콕 오피스 임대율, 공급 과잉으로 80% 이하로 하락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36
|
editor2 | 2025.09.12 | 0 | 36 |
180 |
2025 세계인재순위 47위에서 43위로 도약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27
|
editor2 | 2025.09.12 | 0 | 27 |
179 |
OTT content 규제 개선 논의 활발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25
|
editor2 | 2025.09.12 | 0 | 25 |
178 |
태국인, 하루 150분 이상 온라인 독서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추천 0
|
조회 51
|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0 | 51 |
177 |
주간 경제소식 250911 - korchamthai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추천 0
|
조회 44
|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0 | 44 |
176 |
2025년 상반기 태국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추천 0
|
조회 59
|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0 | 59 |
175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1.~25.9.7.)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추천 0
|
조회 54
|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0 | 54 |
174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8.31.~9.5.)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추천 0
|
조회 50
|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0 | 50 |
173 |
AI 기반 플랫폼 PM2.5 예측 관리 체계 구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48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48 |
172 |
Airbnb, 푸켓을 최고 top 10 미식 여행지로 선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53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53 |
171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8.21.~25.8.29.)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추천 0
|
조회 65
|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0 |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