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동향안내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8.~25.9.12.)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8.~25.9.12.)
□ 상무장관에 전문 기업경영인 내정 (9.8, Nation Thailand)
o 아누틴 총리는 호텔 체인 두싯타니(Dusit Thani) 그룹 최고경영인(CEO) 수파지 수탐판을 신임 상무장관으로 내정함. 수파지는 IBM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며 태국 최초 여성 사장(general manager)으로 임명되었으며, ‘16년부터 두싯타니 그룹 CEO를 역임함. 수파지는 재임기간동안 두싯타니 매출을 5.3억 바트에서 11.2억 바트로 두 배 이상 성장시켰으며, ‘두싯 센트럴파크’ 프로젝트를 포함한 레지던스 매출을 통해 기업 재정 안정화에도 기여한 인물로 평가됨.
- 최근 내각 개편은 재무, 상무, 에너지, 외교, 국방, 법무 등 주요 부처에 비정치인 장관 6명을 포함할 예정임.
□ 아누틴 총리, 생계비 지원정책 부활 약속 (9.9, Bangkok Post)
o 품자이타이당은 코로나19 시기 시행된 ‘콘라크릉(Let’s Go Halves)*’ 생계비 지원정책을 연내 재개할 계획임. 아누틴 총리는 동 정책이 프아 타이당의 디지털월렛보다 효과적인 경기부양책이라고 강조하며, 엑니띠 재무장관 내정자가 제안한 납세자 지출액 60% 보조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함. 아난 께오감넛 예산청장은 ‘25년도 경기부양 예산 잔액 250억 바트가 정책 운영에 충분한 규모라고 평가함.
* 식음료‧생필품 구매 시 정부가 지출액 절반을 보조하는 소비지원 정책으로, 1차는 1인당 최대 3,000바트, 5차는 최대 800바트 지원
□ 태국, 바트화 강세로 수출‧관광 타격 우려 (9.10, Nation Thailand)
o 까시껀리서치 센터(KResearch)에 따르면, 태국 바트화가 올해 들어 약 7.5% 절상되며 아시아에서 가장 강세를 보이는 통화 중 하나가 됨. 특히 9.9일 오전 달러당 바트환율은 31.58바트까지 하락해 4년 만의 최고 강세를 기록했으며, 이후 소폭 완화되어 31.74바트 수준에서 등락함.
- 바트화 강세는 달러 약세, 글로벌 금값 상승, 그리고 외국인의 태국 국채 순매수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분석됨. 태국상공회의소는 이러한 환율상황 지속 시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인한 수출 수익 감소, 관광비 상승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 감소를 우려하며, 특히 쌀 등 농산물 수출에서 비용·수익 간 불균형 발생으로 농가에 가격 하락 압박이 더해질 수 있다고 전망함.
□ UTCC, ‘콘라크릉’ 4분기 경기 회복 견인 전망 (9.11, Nation Thailand)
o 태국상공회의소대학(UTCC) 총장 타나왓 폰위자이는‘콘라크릉(Let’s Go Halves)’ 정책이 연말 태국 경기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하며, 성장세 유지를 위해 정책 예산 500억 바트 추가 편성을 제안함. 타나왓 총장은 추가 편성의 소비효과 1천억 바트가 4분기 GDP를 최대 3% 성장시킬 것으로 예상함. 또한 세금 납부자에 더 많은 혜택을 부여하는 최근 개편안(납세자 60% 지원, 16세 이상 50% 지원)이 국민들의 세금제도 편입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함.
※ 현재 태국 과세 대상자 1,100만 명 중 실제 납세자는 400만 명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
- 타나왓 총장은 아누틴 총리가 구성한 경제 내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재무장관의 포괄적인 재무부 경험, 상무장관 및 에너지장관의 민간 대기업 경영 경험 등을 바탕으로 복잡한 경제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함.
□ IMF, 태국에“신중한 재정 운용”강조 (9.12, Nation Thailand)
o 11일 IMF 월례 기자회견에서 IMF 대변인 줄리 코잭은 태국의 공공부채가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에 속한다고 평가하며, 신중한 재정 운용과 함께 장기적으로 재정 완충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함. 현재 태국의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은 약 67.9%로, ‘28년에는 68.9%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부채 확대 요인으로는 △경상지출이 70% 이상으로 큰 지출구조, △단기 경기부양책, △대규모 세재 감면 정책 등이 꼽힘.
- 태국 재정적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왔으며, GDP 대비 재정적자 규모는 현재 약 4% 수준으로 같은 신용등급(BBB)의 국가 평균보다 높은 편임.
[출처: 주태국 대사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85 |
New 뜨랑에 수상비행기 항구 연말에 개항 예정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3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3 |
184 |
New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2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2 |
183 |
New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8.~25.9.12.)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추천 0
|
조회 13
|
재태국한인회 | 2025.09.15 | 0 | 13 |
182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9.7.~9.12.)
재태국한인회
|
2025.09.13
|
추천 0
|
조회 21
|
재태국한인회 | 2025.09.13 | 0 | 21 |
181 |
방콕 오피스 임대율, 공급 과잉으로 80% 이하로 하락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35
|
editor2 | 2025.09.12 | 0 | 35 |
180 |
2025 세계인재순위 47위에서 43위로 도약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25
|
editor2 | 2025.09.12 | 0 | 25 |
179 |
OTT content 규제 개선 논의 활발
editor2
|
2025.09.12
|
추천 0
|
조회 25
|
editor2 | 2025.09.12 | 0 | 25 |
178 |
태국인, 하루 150분 이상 온라인 독서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추천 0
|
조회 51
|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0 | 51 |
177 |
주간 경제소식 250911 - korchamthai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추천 0
|
조회 44
|
재태국한인회 | 2025.09.10 | 0 | 44 |
176 |
2025년 상반기 태국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추천 0
|
조회 59
|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0 | 59 |
175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1.~25.9.7.)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추천 0
|
조회 54
|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0 | 54 |
174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8.31.~9.5.)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추천 0
|
조회 50
|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0 | 50 |
173 |
AI 기반 플랫폼 PM2.5 예측 관리 체계 구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48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48 |
172 |
Airbnb, 푸켓을 최고 top 10 미식 여행지로 선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53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53 |
171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8.21.~25.8.29.)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추천 0
|
조회 65
|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0 |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