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동향안내
2025년 상반기 태국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2025년 상반기 태국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2025년 상반기 태국 투자 동향
2025년 상반기 태국 투자청(BOI)을 통한 태국 내 총 투자 신고 건수는1,88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37.9% 증가했으며, 신고 금액은 약1조582억 바트(319.7억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138.5% 증가했다.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신고 건수는1,36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59.0% 증가했으며, 신고 금액은 약7376억 바트(222.8억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132.4%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신고액 중 증액 투자와 신규 투자 비중이 각각22%와78%로 신규 투자 비중이 더 높았다.
<2025년 상반기 태국 투자 현황(신고 기준)>
(단위: 10억 바트, %)
대태국총 투자신고 및 외국인투자신고 | 신규 투자 및 증액투자 |
[자료: 태국 투자청(BOI)]
대태국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
2025년 상반기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는 싱가포르(33.5%), 홍콩(29.6%), 중국(13.9%) 순으로 높았다. 싱가포르는248개 프로젝트를 신고하여 약2470억 바트(74억6100만 달러 규모)를 신고해1위를 차지했다. 홍콩은147개 프로젝트로 약2186억 바트(66억500만 달러 규모)를 신고해2위에 올랐으며, 이어서3위 중국은587개 프로젝트로 약1023억 바트(30억8900만 달러 규모)를 신고했다. 한편, 신고 기준 우리나라는17개 프로젝트로 약25억 바트(7700만 달러), 전체 투자 비중의 약1%를 차지해11위를 기록했다.
<태국 내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 비중>
[자료: 태국 투자청(BOI)]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산업은 전체의55.6%를 차지하는 디지털 산업이며 투자 신고 금액 약4100억 바트(123억86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1805% 급증했다. 디지털 산업에 이어 전기·전자 산업은 신고 금액 약1256억 바트(18억10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8% 감소했다.
<대태국 산업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BOI 신고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산업 | 건수 | 금액 |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
농식품 및 바이오기술 | 48 | 70 | 46% | 8,748 | 12,327 | 41% |
의료 | 12 | 33 | 175% | 2,805 | 11,962 | 326% |
기계 자동차 | 182 | 269 | 48% | 49,201 | 57,659 | 17% |
전기 전자 | 163 | 255 | 56% | 136,262 | 125,555 | -8% |
광물 원재료 | 108 | 285 | 164% | 25,621 | 59,897 | 134% |
화학 및 석유화학 | 96 | 172 | 79% | 24,435 | 27,423 | 12% |
공공시설 | 78 | 80 | 3% | 12,552 | 15,713 | 25% |
디지털 | 36 | 59 | 64% | 21,525 | 410,000 | 1805% |
창조 | 32 | 55 | 72% | 7,783 | 5,896 | -24% |
고부가가치 서비스 | 106 | 91 | -14% | 28,374 | 11,140 | -61% |
합계 | 861 | 1369 | 59% | 317,306 | 737,572 | 132% |
[자료: 태국 투자청(BOI)]
대태국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
2025년 상반기 태국 투자청(BOI) 승인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FDI) 건수는1063건, 금액은 약6296억 바트(190억21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75% 증가했다. 싱가포르의 투자 승인 금액은 약2952억 바트(88억1900만 달러 규모)로 데이터 호스팅 사업, 데이터 센터 사업 등의 투자로 전년 동기 대비212% 증가하며1위 투자국에 올랐다. 2위에 오른 홍콩의 투자 승인 금액은 약1454억 바트(43억9300만 달러 규모)로 데이터 센터 산업, 배터리 생산, 석유화학 생산 등의 투자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358% 증가했다. 3위로 오른 중국의 투자 승인 금액은 약1156억 바트(34억93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14% 증가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투자 승인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65% 감소한 약17억 바트(52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하며10위를 기록했다.
<대태국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BOI 승인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구분 | 건수 | 금액 |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
총외국인투자 | 914 | 1063 | 16% | 359,811 | 629,611 | 75% | |
1. | 싱가폴 | 125 | 182 | 46% | 94,525 | 295,227 | 212% |
2. | 홍콩 | 62 | 113 | 82% | 31,737 | 145,418 | 358% |
3. | 중국 | 329 | 482 | 47% | 101,760 | 115,638 | 14% |
4. | 일본 | 163 | 109 | -33% | 38,525 | 21,918 | -43% |
5. | 대만 | 54 | 66 | 22% | 25,162 | 13,662 | -46% |
6. | 네덜란드 | 27 | 31 | 15% | 28,802 | 9,470 | -67% |
7. | 아일랜드 | 1 | 2 | 100% | 1,702 | 5,058 | 197% |
8. | 미국 | 30 | 20 | -33% | 20,293 | 4,290 | -79% |
9. | Malaysia | 17 | 10 | -41% | 1,045 | 2,160 | 107% |
10. | 한국 | 16 | 15 | -6% | 4,913 | 1,707 | -65% |
[자료: 태국 투자청(BOI)]
집중 육성산업 현황
태국 정부의 12대 집중육성산업(미래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 금액은 약 5477억 바트(165억 47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하면서 2025년 상반기 총 외국인 직접투자(FDI) 승인금액의 87%를 차지했다. 12대 집중육성산업 중 외국인 직접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디지털 산업으로 투자 승인 총 36건, 금액 약 3222억 바트(97억 35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21% 급증했다. 전기·전자 분야의 투자 승인은 182건에 약 1179억 바트(35억 63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하여 2위를 기록했다. 또한, 자동차 및 부품 분야의 투자 승인은 119건, 금액 약 431억 바트(13억 1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9% 증가하여 3위를 기록했다. 한편, 화학 및 석유화학 분야 투자 승인은 134건, 약 283억 바트(8억 54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해 4위를 차지했다.
<대태국 집중육성 산업별 외국인투자 현황(BOI 승인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구분 | 건수 | 금액 |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
디지털 | 53 | 36 | -32% | 26,387 | 322,233 | 1121% |
전기·전자 | 170 | 182 | 7% | 139,000 | 117,933 | -15% |
자동차 및 부품 | 107 | 119 | 11% | 39,546 | 43,067 | 9% |
화학 및 석유화학 | 81 | 134 | 65% | 34,850 | 28,272 | -19% |
농업 및 식품가공 | 63 | 51 | -19% | 15,920 | 17,004 | 7% |
관광 | 5 | 5 | 0% | 4,752 | 5,793 | 22% |
의료 | 14 | 17 | 21% | 3,654 | 4,271 | 17% |
자동화 및 로봇 | 13 | 16 | 23% | 1,581 | 3,996 | 153% |
바이오화학 | 6 | 7 | 17% | 20,411 | 3,355 | -84% |
항공 | 3 | 2 | -33% | 872 | 1,793 | 106% |
교육 | N.A. | N.A. | - | N.A. | N.A. | - |
방산 | N.A. | N.A. | - | N.A. | N.A. | - |
합계 | 515 | 569 | 10% | 286,973 | 547,717 | 91% |
* 2024년/2025년 2분기 누계: 교육, 방산 분야 통계 미발표로 해당항목N.A.표시
주: 집중육성산업의'전기·전자'는 스마트전자만 포함
[자료: 태국 투자청(BOI)]
지역별 현황
2025년 상반기 태국 투자청(BOI) 승인 기준 지역별 외국인 직접투자(FDI) 건수는 동부지역이 696건, 금액은 약 4336억 바트(131억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하여 총FDI 승인 금액의 68.9%를 차지했다. 동부지역에 이어 승인 금액 비중으로 중부지역(28.7%), 남부지역(0.7%), 북동부지역(0.3%), 북부지역(0.5%) 비중 순으로 높았다.
<대태국 지역별 외국인투자 현황(BOI 승인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지역 | 건수 | 금액 |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
동부 | 485 | 696 | 44% | 214,637 | 433,564 | 102% |
중부 | 345 | 307 | -11% | 112,869 | 180,740 | 60% |
북부 | 19 | 17 | -11% | 13,146 | 1,883 | -86% |
남부 | 27 | 15 | -44% | 3,664 | 4,257 | 16% |
서부 | 12 | 9 | -25% | 2,397 | 875 | -63% |
북동부 | 19 | 17 | -11% | 1,930 | 3,046 | 58% |
기타 | 6 | 2 | -67% | 11,146 | 5,246 | -53% |
합계 | 913 | 1,063 | 16% | 359,789 | 629,611 | 75% |
[자료: 태국 투자청(BOI)]
동부경제회랑(EEC) 내 외국인 투자는2025년 상반기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의 65.3%에 해당하는 약 4114억 2000만 바트(124억 29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는데 투자액 기준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 EEC 소재3개 주 중 라용 주의 투자가 232건, 약 2244억 바트(67억 79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22% 증가하여 가장 높았고 촌부리 주는 투자액 기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약 1700억 바트(51억 3700만 달러 규모), 차층사오 주 투자는 53% 증가한 약 170억 바트(5억 13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지역 외국인투자 현황(BOI 승인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구분 | 건수 | 금액 |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 | |
EEC | 455 | 653 | 44% | 194,801 | 411,415 | 111% |
촌부리 | 260 | 369 | 42% | 82,422 | 170,038 | 106% |
라용 | 161 | 232 | 44% | 101,283 | 224,398 | 122% |
차층사오 | 34 | 52 | 53% | 11,095 | 16,978 | 53% |
[자료: 태국 투자청(BOI)]
시사점
2025년 상반기 태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전반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산업 투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태국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경제 전환, 탄소중립 전략, 동부경제회랑(EEC) 개발정책과 긴밀히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상당 부분이 정부 지정12대 전략산업에 집중되었고, 투자 지역도 라용·촌부리 등 동부지역에 편중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는 태국의 성장 축이 여전히 특정 산업·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지역 간 균형 발전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국가별로는 싱가포르, 홍콩, 중국이 투자 확대를 주도하는 반면, 한국은 승인 금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이며 투자 비중도1% 수준에 그쳤다.
의료, 친환경, 디지털 등 태국 정부가 집중 육성하는 분야는 향후 진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유망 영역이다. 한국 기업은 ① 전략산업 중심 진출, ② BOI 인센티브 적극 활용, ③ EEC 중심 투자와 더불어 지방 유망 지역으로의 투자 다변화 등을 통해 경쟁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장기적 입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출처: KOTRA 방콕무역관]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76 |
New 2025년 상반기 태국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추천 0
|
조회 13
|
재태국한인회 | 2025.09.09 | 0 | 13 |
175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9.1.~25.9.7.)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추천 0
|
조회 26
|
재태국한인회 | 2025.09.08 | 0 | 26 |
174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8.31.~9.5.)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추천 0
|
조회 30
|
재태국한인회 | 2025.09.07 | 0 | 30 |
173 |
AI 기반 플랫폼 PM2.5 예측 관리 체계 구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37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37 |
172 |
Airbnb, 푸켓을 최고 top 10 미식 여행지로 선정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추천 0
|
조회 39
|
재태국한인회 | 2025.09.05 | 0 | 39 |
171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8.21.~25.8.29.)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추천 0
|
조회 49
|
재태국한인회 | 2025.09.04 | 0 | 49 |
170 |
주간 경제 소식 250903 - korchamthai
재태국한인회
|
2025.09.03
|
추천 0
|
조회 56
|
재태국한인회 | 2025.09.03 | 0 | 56 |
169 |
Tiktok 전자상거래 커피큘럼 개설, MDES 지원
재태국한인회
|
2025.09.02
|
추천 0
|
조회 64
|
재태국한인회 | 2025.09.02 | 0 | 64 |
168 |
바트화 가치 계속 상승, 외환보유고 최대 기록
재태국한인회
|
2025.09.02
|
추천 0
|
조회 142
|
재태국한인회 | 2025.09.02 | 0 | 142 |
167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8.21.~25.8.29.)
재태국한인회
|
2025.09.01
|
추천 0
|
조회 70
|
재태국한인회 | 2025.09.01 | 0 | 70 |
166 |
금년 상반기 외국인 콘도 구입 7,167세대 - 미얀마 급증
재태국한인회
|
2025.08.31
|
추천 0
|
조회 76
|
재태국한인회 | 2025.08.31 | 0 | 76 |
165 |
Satellite-to-phone 통신 서비스 2026년 출시 예정
재태국한인회
|
2025.08.31
|
추천 0
|
조회 71
|
재태국한인회 | 2025.08.31 | 0 | 71 |
164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8.23.~8.29.)
재태국한인회
|
2025.08.29
|
추천 0
|
조회 80
|
재태국한인회 | 2025.08.29 | 0 | 80 |
163 |
헌재, 페통탄 총리 해임
재태국한인회
|
2025.08.29
|
추천 0
|
조회 93
|
재태국한인회 | 2025.08.29 | 0 | 93 |
162 |
[법률상식] 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과징금 부과
재태국한인회
|
2025.08.28
|
추천 0
|
조회 124
|
재태국한인회 | 2025.08.28 | 0 | 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