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동향안내

태국의 디지털 경제 분석 - 현실과 함정, 그리고 추진 전략

작성자
재태국한인회
작성일
2025-07-26 21:15
조회
12

태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함정, 그리고 지역 리더십을 향한 추진력


태국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 기업과 소비자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역동적인 디지털 경제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태국의 디지털 경제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다.


Key Points

디지털 인프라: 태국은 광대역 보급률, 인터넷 속도, 모바일 연결성 측면에서 여전히 일부 지역 국가들에 뒤처져 있다.

디지털 스킬: 태국은 특히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사이버 보안, 전자상거래와 같은 분야에서 디지털 분야의 인적 자원 개발을 강화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태국은 국가의 인재 유치, 개발 및 유지 능력을 측정하는 2020년 글로벌 인재 경쟁력 지수(Global Talent Competitiveness Index)에서 133개국 중 40위를 차지했었다. [2023년에는 79위로 떨어졌다. 한국은 2023년 24위. - 필자 주석]

디지털 규제: 태국은 디지털 경제의 성장과 혁신을 저해할 수 있는 몇 가지 규제 문제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태국은 통신, 미디어, 전자상거래 등 특정 분야에서 외국인 투자자와 기업의 참여를 제한하는 복잡한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제도가 있다.


번창하는 디지털 환경

태국의 디지털 경제는 아세안(ASEAN) 국가 중 가장 빠른 전자상거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으며, 2025년 시장 규모는  5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Lazada, Shopee와 같은 플랫폼이 이러한 붐을 주도하면서 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싱가포르보다 접근성이 더 높아졌다. 핀테크 분야 또한 눈부신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PromptPay는 2024년 51조 6,700억 바트에 달하는 거래를 처리하며 디지털 결제를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또한, Google과 Microsoft와 같은 거대 기술 기업의 대태국 투자가 2024년에 1,000억 바트를 돌파하면서 태국의 잠재력, 특히 AI와 데이터 센터에 대한 확신을 다시 한번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91%의 인터넷 보급률과 90%의 5G 커버리지를 자랑하는 태국은 2025년까지 1,400만 건의 5G 가입자를 예상하는 등 탄탄한 디지털 기반을 갖추고 있다.


지역별 현실 - 뒤쳐진 태국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태국은 여러 핵심 분야에서 지역 경쟁국에 뒤처져 있다. 싱가포르는 빠른 인터넷 속도, 거의 보편적인 광대역망, 그리고 스마트 네이션(Smart Nation) 이니셔티브와 국제적인 규제를 바탕으로 디지털 경제가 GDP의 17% 이상을 차지하며 선도하고 있다.

2025년까지 디지털 경제 규모가 1,3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네시아는 젊은 인구와 1,020억 달러 규모의 역동적인 전자상거래 부문의 수혜를 누리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관광 중심의 디지털 소비와 5G 도입에서 태국을 앞지르는 동시에 아세안 디지털 경제 기본 협정(DEFA)과 더욱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구조적 장벽: 인프라, 투자, 그리고 기술

태국의 디지털 구조는 뿌리 깊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도시 지역은 번영하는 반면 농촌 지역은 광대역 접속이 원활하지 않고, 평균 인터넷 속도는 싱가포르에 비해 뒤처져 있다. 2019년 디지털 경제에 대한 민간 투자는 GDP의 4%에 불과했으며, 동부 경제 회랑(EEC)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전국적인 영향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특히 방콕 외곽 지역에서는 상당한 기술 격차가 지속되고 있다. 태국 기업의 99.5%를 차지하고 GDP의 35.3%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은 제한된 자금과 디지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디지털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규제 문제 또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이 2022년에 발효되었지만, 태국의 규제 체계는 여전히 국제 표준과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를 저해하고 디지털 무역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전략적 우선순위: 디지털 격차 해소

태국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태국 4.0(Thailand 4.0)과 아세안 디지털 경제협력개발기구(DEFA)에서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2027년까지 역내 디지털 강국으로 도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AI, 클라우드 컴퓨팅, 5G에 대한 투자는 유망하지만, 농촌 지역과 중소기업의 포용적 디지털화에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 

기술 개발, 인프라 확장, 규제 개혁에 집중함으로써 태국은 디지털 잠재력을 지역 내 리더십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Thailand Business News]

전체 11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
New 태국의 디지털 경제 분석 - 현실과 함정, 그리고 추진 전략
재태국한인회 | 2025.07.26 | 추천 0 | 조회 12
재태국한인회 2025.07.26 0 12
115
주간경제소식 250723 - korchamthai
재태국한인회 | 2025.07.23 | 추천 0 | 조회 22
재태국한인회 2025.07.23 0 22
114
Suvarnabhumi 공항, 취항 airline 세계 1위로 등극
재태국한인회 | 2025.07.22 | 추천 0 | 조회 32
재태국한인회 2025.07.22 0 32
113
임대차 기간 30년에서 99년 연장 추진
재태국한인회 | 2025.07.22 | 추천 0 | 조회 30
재태국한인회 2025.07.22 0 30
112
하원, 노동보호법의 출산 휴가 120일 연장안 통과
thaihanin | 2025.07.19 | 추천 0 | 조회 31
thaihanin 2025.07.19 0 31
111
방콕, 2025년 디지털 노마드 최고의 여행지로 선정
thaihanin | 2025.07.19 | 추천 0 | 조회 37
thaihanin 2025.07.19 0 37
110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7.13.~7.18.)
thaihanin | 2025.07.18 | 추천 0 | 조회 46
thaihanin 2025.07.18 0 46
109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7.7.~25.7.16.)
thaihanin | 2025.07.17 | 추천 0 | 조회 29
thaihanin 2025.07.17 0 29
108
Agoda, 2025년 상반기 태국 여행 트렌드 분석 발표
thaihanin | 2025.07.17 | 추천 0 | 조회 45
thaihanin 2025.07.17 0 45
107
태국 Entry Fee 다시 연기
thaihanin | 2025.07.17 | 추천 0 | 조회 29
thaihanin 2025.07.17 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