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생활정보
[기고] CFA 김남혁 /05 -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2)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2)
김남혁 CFA
-- (1편에서 계속)
테라-루나의 비극
어릴 적, 대학생 외삼촌이 물에 빠지지 않고 강을 건너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 적이 있다. 한쪽 발이 빠지기 전에 다른 쪽 발을 재빨리 내딛고 이를 매우 빨리하면 물에 빠지지 않고 강을 건널 수 있다는 이야기였다. 처음에는 믿기 어려웠지만 TV 동물 프로그램에서 목도리도마뱀이 이렇게 개천을 건너는 모습을 보고 정말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목도리도마뱀은 가벼운 몸으로 짧은 개천을 건너기에 가능한 것이고 사람은 몸 무게 때문에 폭넓은 강을 건널 때 아무리 발을 빨리 움직여도 결국은 가라앉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우스운 상상이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몰락에 그대로 적용되었다.
스테이블 코인 테라(UST)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이를 설계하고 관리한 테라폼랩스(Terraform Labs, 싱가포르에 등록), 알고리즘 기반 디지털 화폐인 테라와 루나(LUNA), 루나 가치 안정을 담당한 루나파운데이션가드(LUNA Foundation Guard)와 테라의 확산과 신뢰 확보에 기여한 앵커 프로토콜(Anchor Protocol)이 있음을 우선 알아야 한다. 테라폼랩스의 CEO는 언론에도 자주 등장했던 Do Kwon(권도형)이었다.
테라폼랩스는 루나를 2019년 출시하였다. 루나의 초기 발행량은 10억개로 가치 변동이 가능하였고, 코인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로이 거래되었다. 2020년 테라폼랩스는 테라(UST) 1단위 가치를 미국 달러 1달러에 고정하여(pegging) 스테이블 코인으로 출범시켰다. 테라는 루나를 소각해 발행됐다. 테라와 루나는 1대 1로 교환된 것이 아니라 시가에 따라 교환 비율이 달랐다. 이를 중앙은행 모델에 비유하면 테라는 발행화폐, 루나는 화폐의 준비 자산에 해당했다. 루나는 초기에 0.1-0.7달러 수준이었으나, 테라 생태계에 대한 기대와 높은 테라 예치 이자 때문에 2021년초부터 가치가 상승하여 2022년4월에는 120달러선까지 폭등하였다.
루나(LUNA)는 알고리즘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로 테라(UST)의 가치를 안정시켰다. 테라가 1달러를 넘으면, 스마트 컨트랙트가 루나 1달러어치를 소각하고 테라 1개를 발행해 시장에 판매했다. 이를 통해 테라의 공급이 증가하고, 가격은 다시 1달러로 수렴했다. 반대로 테라가 1달러 밑으로 내려가면, 스마트 컨트랙트가 UST를 소각해 루나를 발행하고 시장에 팔아 UST의 공급이 줄여 가격 회복을 유도했다. 이를 통해 테라(UST)의 페깅이 거의 실시간으로 유지되었다.
트레이더들은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차익거래를 하였다. 예를 들어 테라 1단위의 가치가 0.95 달러로 하락하면 트레이더들은 현금으로 테라 1단위를 구입하고 1달러어치의 루나로 전환한 뒤 시장에 매도해 0.05 달러의 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정상 작동하면 테라와 루나 모두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루나 가치도 함께 급락하면 상황은 달라졌다. 테라 가격이 떨어질 때 루나를 새로 발행해 교환해도, 루나 자체 가치가 폭락하면 차익거래가 손실을 초래했다. 어느 순간 시장 신뢰가 붕괴하면 메커니즘이 작동을 멈추게 된다. 결국 루나 가치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돼야만 테라 페깅이 가능했다.
테라폼랩스는 루나 가치 안정을 위해 루나파운데이션가드를 통해 약 8만개 비트코인과 스테이블 코인을 비축했다. 또 앵커 프로토콜을 운영하며 테라(UST) 예치자에게 연 19~20%의 높은 이자를 지급했다. 이로써 테라 발행이 확대됐고, 이에 따른 루나의 소각으로 루나의 가치도 상승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됐다. 이 두 가지 장치 덕분에 시장 신뢰는 한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
앵커 프로토콜은 예치된 테라를 대출해 연 10~15% 이자를 받았다. 담보로 받은 루나·이더리움은 자동으로 스테이킹돼 추가 보상을 창출했다. 그러나 20%에 가까운 이자를 장기간 지급하기 어려웠고, 결국 신규 예치금을 활용해 이자를 충당하는 방식이 반복됐다 (스테이킹(staking)은 지분증명(Proof of Stake) 기반 블록체인에서 사용자가 화폐를 일정 기간 예치해 거래 검증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행위).
루나는 2022년 4월 120달러를 넘었지만, 5월 초 2억 달러 규모의 테라가 거래소에서 현금으로 인출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앵커 프로토콜에서도 예치금이 대거 빠져나갔고, 테라 가격이 하락하자 테라 소각에 따라 루나가 대규모로 새로 발행됐다. 루나 공급 증가로 가치가 폭락하자 테라 가격도 함께 무너졌고, 두 화폐는 5월 중순에 사실상 붕괴됐다. 테라폼랩스는 보유한 비트코인(약 30억 달러)을 처분해 방어를 시도했지만, 시장의 불신만 키우며 폭락을 막지 못했다.
붕괴 직전 테라와 루나의 합산 시가총액은 약 450억 달러로 추정된다. 이 붕괴로 시총 대부분이 증발되었다. 2022년 5월 2일 전세계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1773억 달러였으나, 5월 16일에는 1028억 달러로 줄어들었다. 테라와 루나 붕괴가 암호화폐 시총 감소에 직접적으로 25% 이상 기여했으며, 여파까지 합치면 42%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할 수 있겠다. 한국도 충격을 벗어날 수 없었다. 금융위원회는 당시 국내에서 약 28만 명이 테라와 루나를 보유했다고 추정 발표했다.
Do Kwon은 붕괴 당시 싱가포르에 체류하고 있다가 두바이를 거쳐 세르비아로 도주했으나 2023년 3월 몬테네그로에서 체포되어 2024년 12월 미국으로 송환되었다. 형사재판은 폰지 사기 협의 (앵커 프로토콜 예치금 이자를 신규 예치금으로 지불) 등으로 2026년 1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스테이블 코인의 전망
테라의 실패는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이 일정 수준의 준비자산을 갖추더라도 시장 신뢰를 잃으면 언제든 붕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아무리 재빠른 목도리도마뱀도 몸무게가 늘어나면 강 중간에서 물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2024년 6월 29일 기준, 스테이블 코인 시장은 테더(USDT)와 서클(USDC)이 각각 발행액 약 1,576억 달러, 617억 달러로 61%, 2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양분하고 있다. 서클은 올해 6월 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으며, 미국 은행 예치금과 국채를 발행액과 동일한 규모로 보유하고 매월 보유내역을 미국 회계법인의 외부 감사 보고서와 함께 공개한다. 반면 테더는 발행액과 같은 수준의 준비자산을 미국 국채(66%), 현금성 자산(15.5%), 회사채·암호화폐·귀금속·담보대출 등(18.5%)로 구성하고 있다고 매분기 이탈리아 회계법인의 점검 결과(attestation)를 발표하지만, 아직 미국 회계법인의 정식 감사는 받지 않아 회의론자들의 의구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테더가 준비자산 없이 USDT를 대규모로 발행해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이를 통해 가격을 올리거나 하락을 방어했다는 의혹도 지속되면서 미국 규제당국의 조사 대상에 올라 있다.
최근 통과된 GENIUS Act에 따르면, 1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스테이블 코인 발행기관은 연방준비제도(은행의 경우)나 재무부(비은행의 경우)의 규제를 받게 된다. 이들은 현금·현금성 자산과 미국 국채만으로 준비자산을 유지해야 하며, 발행액과 동일한 준비자산 내역을 매월 공개해야 한다. 또한 500억 달러 이상 발행기관은 매년 등록된 회계법인의 외부 감사를 받아야 한다. 스테이블 코인 1위를 차지한 테더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시장 신뢰를 잃고 사용자가 크게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도 스테이블 코인 규제 법안을 서둘러 마련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에 따른 시민들의 피해와 불확실성을 미리 차단해야 할 것이다.
끝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태국 정부, 주요 공공기관 및 대학/병원 등 웹사이트 링크 목록
thaihanin
|
2025.04.25
|
추천 0
|
조회 298
|
thaihanin | 2025.04.25 | 0 | 298 |
공지사항 |
태국 주재 공공기관 안내
thaihanin
|
2025.03.20
|
추천 0
|
조회 334
|
thaihanin | 2025.03.20 | 0 | 334 |
공지사항 |
2025년 태국 기념일/공휴일
thaihanin
|
2025.03.07
|
추천 0
|
조회 460
|
thaihanin | 2025.03.07 | 0 | 460 |
104 |
2025년 8월 태국 축제 및 이벤트
재태국한인회
|
2025.07.29
|
추천 0
|
조회 36
|
재태국한인회 | 2025.07.29 | 0 | 36 |
103 |
태국과 캄보디아는 왜 국경 분쟁을 겪을까?
재태국한인회
|
2025.07.25
|
추천 0
|
조회 176
|
재태국한인회 | 2025.07.25 | 0 | 176 |
102 |
[칼럼] 태국 엿보기 16 - 라마 10세 생일을 축하합니다. (7/28)
재태국한인회
|
2025.07.24
|
추천 0
|
조회 129
|
재태국한인회 | 2025.07.24 | 0 | 129 |
101 |
대사관에서 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발급 가능
재태국한인회
|
2025.07.23
|
추천 0
|
조회 62
|
재태국한인회 | 2025.07.23 | 0 | 62 |
100 |
방콕시, Saen Saep 주변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 조성
editor2
|
2025.07.21
|
추천 0
|
조회 45
|
editor2 | 2025.07.21 | 0 | 45 |
99 |
7/19-20 Pattaya Marathon 대회, 교통 통제 안내
thaihanin
|
2025.07.18
|
추천 0
|
조회 99
|
thaihanin | 2025.07.18 | 0 | 99 |
98 |
[기고] CFA 김남혁 /05 -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2)
thaihanin
|
2025.07.16
|
추천 0
|
조회 51
|
thaihanin | 2025.07.16 | 0 | 51 |
97 |
쓰레기 분리수거로 경비 절감 !!
thaihanin
|
2025.07.16
|
추천 0
|
조회 26
|
thaihanin | 2025.07.16 | 0 | 26 |
96 |
Solar Rooftop 세금 공제에 소비자 기대 증가
thaihanin
|
2025.07.13
|
추천 0
|
조회 28
|
thaihanin | 2025.07.13 | 0 | 28 |
95 |
[기고] CFA 김남혁 /04 -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1]
thaihanin
|
2025.07.13
|
추천 0
|
조회 42
|
thaihanin | 2025.07.13 | 0 |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