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생활정보
[기고] CFA 김남혁 /04 -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1]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1)
CFA 김남혁
스테이블 코인이란?
최근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미국 의회가 이번 6월 관련 법(Genius Act)을 통과시키면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규제 체제가 마련되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에 BIS와 ECB는 스테이블 코인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들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고 한국은행도 이에 동참했다. 그럼에도 월마트, 아마존, 비자카드 등은 스테이블 코인을 직접 발행하거나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디지털자산기본법이 발의되면서 8개 한국 시중은행이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카카오은행, 네이버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 법한 디지털 은행과 플랫폼들의 주가 뿐 아니라 자체 서비스로 디지털 토큰을 사용하던 소규모 기업까지 주가가 들썩거렸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가 통화에 고정되어 있는 디지털 화폐이다. 디지털 화폐는 원래 사이버공간에서 거래 또는 청산의 수단으로 등장하였다. 쉽게 말해,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상품권의 디지털 형태와 유사하다. 통인시장에서는 엽전을 현금으로 구매해서 상점에서 결제를 한다. 한국 스타벅스도 충전식 선불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충전액으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스테이블 코인은 엽전과 충전액을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그 역할을 확장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엽전과 선불카드 충전액은 그 가치가 원화와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시마다 은행 시스템을 통해 결제할 필요가 없어 상점 입장에서 결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통인시장과 스타벅스는 예치 받은 현금을 운용해 수익을 얻고 이를 통해 상품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둘만 비밀을 지키면 누가, 언제, 무엇을 구매했는지에 대한 익명성이 유지된다.
스테이블 코인은 이러한 가치 고정, 거래의 효율성, 예치금 운용, 익명성 보장을 위해 등장하였다. 디지털 화폐이기 때문에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s)를 활용한다는 것이 통인시장이나 스타벅스와의 결정적 차이점이다.
혹자는 통인시장의 엽전은 통인시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니 스테이블 코인과는 다르지 않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서클(USDC), 테더(USDT) 같은 스테이블 코인들도 처음에는 사용처가 제한적이었으나 각자의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널리 통용되게 되었다. 만일 한국은행이 500원짜리 동전을 모두 회수하고 통인시장의 엽전이 주요 유통기업들과 제휴를 한다면 엽전이 500원 동전 대신에 통용될지도 모를 일이다. 가치 고정, 거래 효율성과 익명성이라는 장점이 사이버 공간에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수요를 만들었고 이에 대응해 다양한 스테이블 코인들이 발행되었으며 이제는 현실 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화폐 관련 기술 중 분산원장기술(DLT)은 비트코인 덕분에 널리 알려진 개념이나 스마트 컨트랙트는 다소 낯선 개념일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란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사전에 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거래가 실행되도록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한국의 시중은행을 통해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여 송금하려면 은행은 달러를 기준금리보다 높은 사는 가격(ask price)에 외환시장에서 구입하여 이를 중개은행을 거쳐 수취 은행에 송금한다. 하지만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널리 쓰인다면 송금자가 앱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송금하는 순간 스마트 컨트랙트가 기준 환율에 따라 자동으로 달러로 계산하고 수취인의 계좌에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입금하도록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은행 개입이 전혀 없으므로 빠르고 저렴한 송금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은 일부 중앙은행도 발행하며 이를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라고 한다. 바하마와 나이지리아가 이를 통용하고 있고,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이 시범운영을 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 검토 단계이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개인의 사생활 침해 위험을 이유로 CBDC 발행과 사용을 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였다. CBDC로 결제를 하면 그 정보가 바로 중앙은행의 청산 시스템에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거래의 익명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민간이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들은 대체로 미국 달러 1달러에 가치를 고정하며, 성공의 핵심은 그 가치 고정에 대한 신뢰이다. 이러한 신뢰를 확보하는 방법은 발행액과 같은 수준의 준비자산을 보유하거나, 준비자산이 부족하더라도 알고리즘으로 코인의 1달러 페깅을 유지하는 것이다. 첫번째 방법은 서클과 테더가 채택하였고, 두번째 방법은 테라가 사용했지만 테라는 결국 붕괴되어 가치를 상실했다. 테라의 사례는 스테이블 코인이 신뢰를 잃으면 어떻게 무너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하겠다. (2편에서 계속)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 안전한 태국 여행을 위한 안내
thaihanin
|
2025.05.16
|
추천 0
|
조회 223
|
thaihanin | 2025.05.16 | 0 | 223 |
공지사항 |
태국 정부, 주요 공공기관 및 대학/병원 등 웹사이트 링크 목록
thaihanin
|
2025.04.25
|
추천 0
|
조회 251
|
thaihanin | 2025.04.25 | 0 | 251 |
공지사항 |
태국 주재 공공기관 안내
thaihanin
|
2025.03.20
|
추천 0
|
조회 289
|
thaihanin | 2025.03.20 | 0 | 289 |
공지사항 |
2025년 태국 기념일/공휴일
thaihanin
|
2025.03.07
|
추천 0
|
조회 406
|
thaihanin | 2025.03.07 | 0 | 406 |
95 |
Solar Rooftop 세금 공제에 소비자 기대 증가
thaihanin
|
2025.07.13
|
추천 0
|
조회 11
|
thaihanin | 2025.07.13 | 0 | 11 |
94 |
[기고] CFA 김남혁 /04 - 스테이블 코인과 테라-루나의 비극 [1]
thaihanin
|
2025.07.13
|
추천 0
|
조회 17
|
thaihanin | 2025.07.13 | 0 | 17 |
93 |
방콕, 47km 운하 산책로 공개
thaihanin
|
2025.07.09
|
추천 0
|
조회 37
|
thaihanin | 2025.07.09 | 0 | 37 |
92 |
10월 1일부터 모든 전철 노선 요금 20바트 이하로 조정
thaihanin
|
2025.07.08
|
추천 0
|
조회 34
|
thaihanin | 2025.07.08 | 0 | 34 |
91 |
[칼럼] 태국 엿보기 15 - 완 아산하부차와 완 카오판싸
thaihanin
|
2025.07.07
|
추천 0
|
조회 66
|
thaihanin | 2025.07.07 | 0 | 66 |
90 |
태국, 'e-Work Permit' 시스템 도입
thaihanin
|
2025.07.04
|
추천 0
|
조회 46
|
thaihanin | 2025.07.04 | 0 | 46 |
89 |
방콕시 광고판 조명 강도를 낮추는 새로운 규정 제시
thaihanin
|
2025.07.03
|
추천 0
|
조회 34
|
thaihanin | 2025.07.03 | 0 | 34 |
88 |
[칼럼] 태국 엿보기 14 - 방콕과 태국은 다른 나라?
thaihanin
|
2025.07.01
|
추천 0
|
조회 68
|
thaihanin | 2025.07.01 | 0 | 68 |
87 |
수족구병 발생, 어린이들 조심
thaihanin
|
2025.06.29
|
추천 0
|
조회 37
|
thaihanin | 2025.06.29 | 0 | 37 |
86 |
주류 판매 시간대 새로운 규정 시행
thaihanin
|
2025.06.28
|
추천 0
|
조회 43
|
thaihanin | 2025.06.28 | 0 | 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