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생활정보

[칼럼] 태국 엿보기 15 - 완 아산하부차와 완 카오판싸

작성자
thaihanin
작성일
2025-07-07 22:06
조회
32

완 아산하부차와  완 카오판싸[入安居日]


이번 주말은 7월 10일 목요일부터 주말 휴일이 계속된다. 7월 10일 목요일(태국 불력 8월 15일)이 불교 기념일인 '완 아쌀라하 부차' (อาสาฬหบูชา, Asarnha Bucha 또는 Dhamma Day)이고 금요일 11일은 (태국 불력 8월 16일) 태국 최대 불교 기념일인 "완 카오판싸" (วันเข้าพรรษา, Wan Khao Phansa)로 이어진다. 완 카오판싸를 모르면 태국 사람이 아닐 정도로 모든 태국인이 알고 지키는 최대의 불교 절기다.


  


완 카오판싸 하루 전인 태국력 8월 15일 '완 아살라하부차'는 2500 여년 전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지 두 달 후, 바라나시 카시 주(현재 인도 사르나트)의 이시파타나 사슴 공원에서 콘단나, 밧파, 밧디야, 마하나마, 아사지 다섯 고행자에게 "담마칵카파바타나 숫따(Dhammacakkappavattana Sutta)"라는 첫 설법을 하신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태국인들은 이날을 불교에서는 가장 성스러운 날로 여기고 이 기일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불교행사를 치르며 각 가정에서는 집안을 청소하고 깃발을 달거나 의식을 위한 제단을 준비하기도 한다. 가정의 문제 해결을 기원하기도 하며 절에 가서 기도하고 설법을 듣기도 하며 촛불의식을 행하기도 힌다.

Dhammacakkappavattana Sutta의 주요 요점은 네 가지 고귀한 진리를 설명하고 있다.

  • 둑가(Dukkha) 고통, 신체적 불편함, 정신적 불편함
  • 사무다야(samudaya) 괴로움의 원인은 갈애, 즉 욕망
  • 니로다(Nirodha) 고통의 소멸은 갈애, 욕망의 소멸
  • 도(magga)는 고통을 종식시키는 길, 고귀한 팔정도(八正道)


부처님께서 이 법을 설법하시자, 오행 고행자 중 한 명인 콘단나(Kondanna)가 법안(法眼)을 얻고 수다원(禪多院)을 얻어 불교 최초의 승려로 출가하기를 청했는데 그날로 삼보(三寶), 즉 불(佛), 법(法), 승(僧)이 완성되었다고 본다.

태국 불교 신자들은 아사나부차의 날에 다음과 같이 종교 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1. 아침에 스님들께 보시하고 공덕을 쌓으세요.
  2. 사원에 가서 Dhammacakkappavattana Sutta나 다른 법의 가르침에 대한 법문을 들어보세요.
  3. 촛불 행렬 - 저녁에는 불교 신자들이 사찰에 모여 삼보를 경배하는 방식으로 촛불로 법당을 둘러사세요
  4. 다르마 수행 - 어떤 사람들은 다르마를 수행하기 위해 사찰에 가거나 집에서 명상할 것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해탈하신 수 년 후 부처님은 탄생 7일 만에 돌아가신 생모(씨리 마하마야)에게 불법을 알려드리기 위해 타바팀싸 [도솔천] 라고 불리는 천상으로 승천하여 한 판싸 동안 머문 후 지상으로 내려왔다고 전해온다. 태국의 왕실에서도 이 기념일에 국왕이 왕실 사원인 에머럴드 사원의 불상에 황금 법의를 갈아 입히는데 태국인들은 일년에 세 계절이 있다고 믿고 에머럴드 불상의 법의를 갈아 입히는 행사도 일년에 세 번 열리며 오직 국왕만이 불상의 옷을 갈아 입힐 수 있다.


완 카오판싸 [入安居日]

태국 불력으로 8월 16일이 '완 카오판싸 [入安居日]' 또는 '守夏節'이라고 부르는 불교 기념일로 모든 공공장소에서 음주 판매를 금지한다. 이날 모든 승려들은 절에 들어가 3개월 동안 외출하지 않고 수양에 전념한다. 즉 승려들이 3개월 동안 안에서 거하기 위해 안으로 들어가는 날이다.

"카오판사"라는 말은 "수련, 수양에 들어간다"는 팔리어 "바수파나이카(Vassupanayika)"에서 유래한 말로, "수련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기독교의 사순절이라는 말이 갖는 의미와 비슷한 것 같다. 그래서 '완카오판사'를 Buddha Lent Day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부처님 당시에는 승려들이 일 년 내내 여러 곳으로 다르마[法]를 전파하기 위해 여행을 하는 전통이 있었다. 그러나 우기에는 여행이 어렵고 다니면서 마을 사람들의 농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작은 동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어 마을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이러한 피해를 막고 승려들이 휴식을 취하고, 다르마를 수행하고, 다르마와 율장을 최대한 공부할 시간을 갖기 위해 우기 동안 승려들이 특정 사원에 3개월 동안 머물러야 한다고 명하셨다.

승려들은 이날 부터 수도원이나 사찰 내에 머물면서 수도와 참선을 하는데 '판사'라는 태국말은 영혼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 일으키는 기간이라는 압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입안거는 태국음력 11월 14일까지 계속되고 11월 15일 안에서 밖으로 나오는데 이 날을 '억판싸[출안거일]'라고 부른다. 

이 기간 동안 승려들은 탁발을 다니지 않고 불도들이 직접 절로 찾아가 시주를 드린다. 매일 아침 탁발오는 중들에게 갖가지 음식을 시주하는 것이 생활화 되어 있는 태국민들에게는 매우 의미있는 날로 여기는 것 같다. 즉, 내세를 위한 보시활동 중 가장 중요한 선업이라고 여긴다. 

신도들은 전통적으로 이날 절을 찾아 염불하고 시주하고 기원하는 행사를 꼭 치른다. 그리고 '쌍카라차[승가의 법왕, 우리나라 종정과 같음]의 특별 설법을 듣고 국왕은 왕실 사원 [왓 쁘라께오, 우리가 알고 있는 에메랄드 사원]을 참배하고 고승들에게 법의를 봉헌하는 등 대대적인 왕실 행사도 거행된다. 신도들은 이 기간 중에 매일 음식물을 사원을 가져가 보시하는 신앙생활로 집중적으로 선업을 쌓는다고 한다. 참고로 태국 불교에서는 승려가 농사를 짓거나 취사하지 않으며 절에 취사시설이 없다. 모든 음식은 탁발 시주 받은 음식으로만 해결하고 아침 7시에 한 끼, 11시 경에 한 끼 그래서 하루 두 끼만 먹는다.

오늘날 카오판사는 태국 불교 신자들이 중시하고 꾸준히 수행하는 불교의 명절이자 중요한 날이다. 승려에게 공양을 올리고, 양초와 목욕 가운을 바치고, 다양한 태국 공양물을 바치고, 법문을 듣고, 계율을 지키고, 명상을 하는 등 공덕을 쌓는 활동을 한다.

승려들에게는 이 기간이 방황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다르마를 수행하고, 다르마를 공부하고, 수련이 끝나면 사람들에게 가르칠 준비를 하는 기간이다. 불교도들에게는 공덕을 쌓고, 선행을 실천하고, 법문을 듣고, 마음을 정화하고, 종교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의 단결을 증진하는 기회이다.

이런 모습이 방콕 시내에서는 좀 변한 것 같다. 즉 카오판싸 기간 중에도 승려들이 시내에 돌아 다니고 평상시와 같이 탁발도 한다. 


동남아시아의 상좌부 불교도들은 판사 기간 중 스님들이 사찰 생활에 필요할 물품들을 모아 공양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어둠을 밝히는 초(candle)다. 카오판싸 기념일 며칠 전부터 사찰마다 커다란 초를 공양하는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의 근원은 부처님 생존 시 아누뤁타라는 가장 연로하고 지혜로운 제자가 수많은 몽매한 사람들을 광명의 세계로 이끄는 일을 한 업적을 어둠을 밝히는 초를 공양함으로 봉축하는 것이라고 전해진다. 물론 촛불은 세상의 어두움을 밝히는 것 이외에도 인간의 정신을 밝게 해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상징하는 초를 사원에 공양하여 3개월 동안 계속 사찰을 밝혀 스님들이 불경을 읽을 수 있게 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로 간주한다.

특히 태국 동부에 위치한 우본 랏차타니의 주민들은 이 행사를 태국 어느 지역의 주민들 보다 더욱 성대히 치루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는데 100년 넘게 행해진 전통적으로 큰 행사를 벌린다.

얇은 나무 판을 둥글려 근간을 만든 후 채취한 밀랍을 파라핀과 1 대 2의 비율로 녹여 표면에 입힌 후 그 위에 얄팍하게 형틀에 부어 떠낸 기초 디자인을 부착시킨다. 그 표면을 솜씨 있는 장인이 주위를 돌아가며 뾰죡한 칼로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어 다듬어 가면서 선명한 조각품을 완성해 하는데 커다란 초가 조각품으로 완성되면 이 것을 정화시키는 의식이 거행되고 주지스님이 축원을 하고 나서 정화수를 뿌리는 절차를 거친다.

이렇게 각 사찰의 신도들이 정성스레 만든 밀랍 조각품들이 하나씩, 하나씩 모두 연례 행사인 퍼레이드에 참가하는데 이 퍼레이드가 축제의 양상을 띠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전통악기로 음악이 연주되면서 참가자들이 흥겹게 춤을 추며 뒤를 따라 행진한다. 초 표면조각의 주제는 불교와 관계되는 것 이외에도 힌두교 신화의 장면을 나타내는 것들도 자주 보인다.

성대한 퍼레이드가 끝나면 이 밀랍 조각품들은 다시 각 사찰로 옮겨 진 후 점화의 예식을 치른 후 판싸 기간인 3개월 동안 계속 불꽃을 밣힌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초가 다 녹고 난 심지의 불꽃을 사찰 안의 램프에 옮기고 그것에 새 초를 점화하기도 한다. 아주 잘 조각된 걸작은 사찰의 소장품으로 오랜 동안 보존되기도 한다.


같은 날인 우리 음력 6월 보름에는 우리나라 불교에서도 7월 백중(우란분절)이라고 하여 49일 기도 입재의식을 치르기도 하며 돌아가신 부모나 조상의 극락왕생을 발원하기도 한다.그리고 하안거(夏安居)라고 부르는 태국식의 카오판사와 비슷한 절기를 지키는 것 같다. 우리나라 불교에는 겨울에 행하는 동안거가 있는데 태국은 추운 겨울이 없어서 그런지 동안거와 같은 절기나 행사는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요즘은 대부분 태국인들은 "완 아싸라하부차"보다 다음 날인 "완 카오판싸"의 연장으로 며칠간 긴 불교 축제를 치른다. 태국 불교 역사나 전통을 살펴보면 완아산하부차는 최근에 정해진 기념일이고 완카오판사는 오랜 역사와 전통이 있다.


아산하부차의 날 행사는 인도에서 일어났지만, 태국에서 아산하부차의 날을 공휴일이자 중요한 불교의 날로 정한 것은 1958년  Phra Thammakosachan (Chob Anuchari)(프라 탐마코사찬-촙 아누차리)이 교육 기관의 승가 부장관 보좌관을 맡고 있을 때 승가위원회(현재의 최고 승가위원회)에 아산하부차의 날을 공휴일이자 또 다른 중요한 종교적 날로 정하고 1958년 7월 14일, 승가위원회에서 중요 종교일 결정에 관한 공고문을 발표함으로 시작됐다. 같은 날 승가협의회 사무국에서 모든 사원에서 따라야 할 아산하부차 의식의 행동 규칙을 공고하였다.

카오판사의 시작일과 종료일도 승가위원회에서 공문으로 결정 발표하는데 수코타이 시대의 첫 비문인 람캄행 왕의 비문에 따르면 수코타이 시대의 판사 기간 동안 왕, 귀족, 백성들이 함께 계율을 지키고 공덕을 쌓은 공덕 쌓기 의식이 있었다는 증거가 나오고 아유타야와 라타나코신 시대에도 카오판사 기간에 공덕을 쌓는 전통이 계속해서 이어져 왔으며, 카오판사 기간동안 승려들에게 목욕가운과 양초를 바쳤다고 전해진다.


[글쓴이 : 박동빈]

전체 9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 안전한 태국 여행을 위한 안내
thaihanin | 2025.05.16 | 추천 0 | 조회 204
thaihanin 2025.05.16 0 204
공지사항
태국 정부, 주요 공공기관 및 대학/병원 등 웹사이트 링크 목록
thaihanin | 2025.04.25 | 추천 0 | 조회 230
thaihanin 2025.04.25 0 230
공지사항
태국 주재 공공기관 안내
thaihanin | 2025.03.20 | 추천 0 | 조회 270
thaihanin 2025.03.20 0 270
공지사항
2025년 태국 기념일/공휴일
thaihanin | 2025.03.07 | 추천 0 | 조회 374
thaihanin 2025.03.07 0 374
92
New 10월 1일부터 모든 전철 노선 요금 20바트 이하로 조정
thaihanin | 2025.07.08 | 추천 0 | 조회 10
thaihanin 2025.07.08 0 10
91
[칼럼] 태국 엿보기 15 - 완 아산하부차와 완 카오판싸
thaihanin | 2025.07.07 | 추천 0 | 조회 32
thaihanin 2025.07.07 0 32
90
태국, 'e-Work Permit' 시스템 도입
thaihanin | 2025.07.04 | 추천 0 | 조회 33
thaihanin 2025.07.04 0 33
89
방콕시 광고판 조명 강도를 낮추는 새로운 규정 제시
thaihanin | 2025.07.03 | 추천 0 | 조회 30
thaihanin 2025.07.03 0 30
88
[칼럼] 태국 엿보기 14 - 방콕과 태국은 다른 나라?
thaihanin | 2025.07.01 | 추천 0 | 조회 37
thaihanin 2025.07.01 0 37
87
수족구병 발생, 어린이들 조심
thaihanin | 2025.06.29 | 추천 0 | 조회 28
thaihanin 2025.06.29 0 28
86
주류 판매 시간대 새로운 규정 시행
thaihanin | 2025.06.28 | 추천 0 | 조회 32
thaihanin 2025.06.28 0 32
85
보행자 사고 급증, 안전 조치 강화 시급
thaihanin | 2025.06.27 | 추천 0 | 조회 27
thaihanin 2025.06.27 0 27
84
태국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전략
thaihanin | 2025.06.27 | 추천 0 | 조회 34
thaihanin 2025.06.27 0 34
83
태국에서 드론 날리려면 ??
thaihanin | 2025.06.25 | 추천 0 | 조회 50
thaihanin 2025.06.25 0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