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동향안내

2025년 1분기 태국 외국인 투자 동향 분석

작성자
thaihanin
작성일
2025-05-28 11:26
조회
32

2025년 1분기 태국 외국인 투자 동향 분석

- 2025년 1분기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 건수 yoy 42.7% 증가, 신고 금액 yoy 62.4% 증가

-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 금액은 싱가포르, 홍콩, 중국 순으로 한국은 73억 바트(4000만 달러)로 8위를 기록

- 12대 집중육성산업 중 외국인 직접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디지털 산업, 총 19건, 금액 2060억 바트 yoy 982% 급증

태국 투자 동향

2025년 1분기 누계 태국 투자청(BOI)을 통한 태국 내 총 투자 신고 건수는 82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2% 증가했으며, 신고 금액은 4312억 바트(127억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96.6% 증가했다.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신고 건수는 61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7% 증가했으며, 신고 금액은 2677억 바트(79억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62.4%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신고액 중 증액 투자와 신규 투자 비중이 각각 22%와 78%로 신규 투자 비중이 더 높았다.

 

<신고 기준 투자 현황>

(단위: 10억 바트, %)

대태국 총 투자신고 및 외국인투자신고

신규 투자 및 증액투자




[자료: 태국 투자청(BOI)]

 

대태국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는 홍콩(50.0%), 중국(17.7%), 싱가포르(14.2%) 순으로 높았다. 홍콩은 68개 프로젝트에 1352억 바트(39억 8100만 달러)를 신고해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274개 프로젝트에 473억 바트(13억 9300만 달러)를 신고해 2위에 올랐으며, 이어서 3위 싱가포르는 110개 프로젝트에 381억 바트(11억 2100만 달러)를 신고했다. 한편, 신고 기준 우리나라는 7개 프로젝트에 12억 바트(3500만 달러), 전체 투자 비중의 약 1%를 기록해 11위를 기록했다.

 

<태국 내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 비중>

(단위: %)

[자료: 태국 투자청(BOI)]

 

2025년 1분기 누계 태국 투자청(BOI) 신고 기준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산업은 전체의 32.8%를 차지하는 전기·전자산업이며 투자 신고 금액 878억 바트(25억 8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전기·전자산업에 이어 디지털 산업은 신고 금액 852억 바트(25억 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13% 급증했다.

 

<대태국 산업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BOI 신고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산업

건수

금액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농식품 및 바이오 기술

23

27

17%

4,505

4,820

7%

의료

7

11

57%

1,064

4,813

352%

기계 자동차

88

127

44%

23,302

32,290

39%

전기 전자

88

117

33%

74,249

87,758

18%

광물 원재료

44

122

177%

11,208

21,100

88%

화학 및 석유화학

49

88

80%

15,593

14,316

-8%

공공시설

41

38

-7%

5,599

8,586

53%

디지털

20

24

20%

13,896

85,202

513%

창조

16

26

63%

960

3,223

236%

고부가가치 서비스

57

38

-33%

14,472

5,555

-62%

합계

433

618

43%

164,848

267,663

62%

 [자료: 태국 투자청(BOI)]

  

대태국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

 

2025년 1분기 누계 BOI 승인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FDI) 건수는 530금액은 3685억 바트(108억 5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싱가포르의 투자 승인 금액은 1564억 바트(46억 700만 달러)로 데이터 센터 사업, 인쇄 회로 기판 생산 등의 투자로 전년 동기 대비 190% 증가하며 1위 투자국에 올랐다. 2위에 오른 홍콩의 투자 승인 금액은 1328억 바트(39억 1000만 달러)로 데이터 센터 산업, 베터리 생산, 자동차 부품 생산 등의 투자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447% 증가했다. 3위로 오른 중국의 투자 승인 금액은 467억 바트(13억 7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투자 승인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23% 증가한 13억 바트(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8위를 기록했다.

 

<대태국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BOI 승인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건수

금액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외국인 투자

472

530

12%

198,346

368,510

86%

1. 싱가포르

63

77

22%

53,863

156,420

190%

2.

홍콩

30

55

83%

24,287

132,761

447%

3.

중국

164

249

52%

68,283

46,697

-32%

4.

일본

87

44

-49%

12,885

8,710

-32%

5.

대만

25

33

32%

7,467

7,220

-3%

6.

네덜란드

14

22

57%

3,491

6,861

97%

7.

미국

13

11

-15%

9,592

3,443

-64%

8.

한국

12

9

-25%

604

1,344

123%

9.

인도

3

4

33%

315

1,176

273%

10.

프랑스

4

4

0%

142

621

337%

 [자료: 태국 투자청(BOI)]

 

집중 육성산업 현황

 

태국 정부의 12대 집중육성산업(미래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 금액은 3401억 바트(100억 16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2025년 1분기 총 외국인 직접투자 승인금액의 92.3%를 차지했다. 12대 집중육성산업 중 외국인 직접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디지털 산업으로 투자 승인 총 19건, 금액 2060억 바트(60억 6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82% 급증했다. 전기·전자 분야의 투자 승인은 89건에 793억 바트(23억 3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하여 2위를 기록했다. 또한, 화학 및 석유화학 분야의 투자 승인은 76건, 금액 175억 바트(5억 1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2% 증가하여 3위를 기록했다. 한편, 자동차 및 부품 분야 투자 승인은 57건, 153억 바트(4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해 4위를 차지했다.

 

<대태국 집중육성 산업별 외국인투자 현황(BOI 승인 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구분

건수

금액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디지털

31

19

-39%

19,045

205,985

982%

전기·전자

90

89

-1%

86,839

79,334

-9%

화학 및 석유화학

36

76

111%

9,128

17,526

92%

자동차 및 부품

56

57

2%

26,063

15,274

-41%

농업 및 식품 가공

38

27

-29%

10,768

9,774

-9%

관광

2

3

50%

1,775

4,790

170%

바이오화학

2

5

150%

483

3,219

566%

의료

9

13

44%

1,884

2,276

21%

자동화 및 로봇

8

5

-38%

1,187

1,851

56%

교육

N.A.

1

-

N.A.

24

-

항공

N.A.

1

-

N.A.

20

-

방산

N.A.

N.A.

-

N.A.

N.A.

-

합계

272

296

9%

157,172

340,073

116%

* 2024년/2025년 1분기 누계: 교육, 항공 방산 분야 통계 미발표로 해당 항목 N.A.표시

: 집중육성산업의 '전기·전자'는 스마트전자만 포함

[자료: 태국 투자청(BOI)] 

 

지역별 현황


2025년 1분기 누계 BOI 승인 기준 지역별 외국인 직접투자(FDI) 비중은 동부 지역이 340건, 금액은 2150억 바트(63억 3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하여 총 FDI 승인 금액의 58.3%를 차지했다. 중부 지역(40.3%), 남부 지역(0.5%), 북동부 지역(0.3%), 북부 지역(0.3%) 비중 순으로 높았다.

 

<대태국 지역별 외국인투자 현황 (BOI 승인기준)>

(단위: 건, 백만 바트, %)

지역

건수

금액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동부

261

340

30%

121,531

215,008

77%

중부

167

156

-7%

57,470

148,488

158%

북부

9

8

-11%

11,926

987

-92%

남부

14

10

-29%

389

1,906

390%

서부

7

5

-29%

1,324

720

-46%

북동부

12

10

-17%

1,243

1,201

-3%

기타

2

1

-50%

4,464

200

-96%

합계

472

530

12%

198,347

368,510

86%

[자료: 태국 투자청(BOI)]

 

동부경제회랑(EEC) 내 외국인 투자는 2025년 1분기 누계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의 54.6%에 해당하는 2012억 바트(59억 2500만 달러)를 기록했는데 투자액 기준 전년 대비 90% 증가했다. EEC 소재 3개 주 중 라용주의 투자가 107건, 1070억 바트(31억 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8% 증가하여 가장 높았고 촌부리주는 투자액 기준 전년 대비 50% 증가한 834억 바트(24억 5500만 달러), 차층사오주 투자는 21% 증가한 108억 바트(3억 1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단위: 건, 백만 바트, %)

건수

금액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

EEC

244

314

29%

105,893

201,169

90%

촌부리

144

181

26%

55,526

83,352

50%

라용

84

107

27%

41,433

107,011

158%

차층사오

16

26

63%

8,934

10,807

21%

 [자료: 태국 투자청(BOI)]

 

시사점

 

 2025년 1분기 승인 기준 태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나타냈고, 특히 디지털 산업은 데이터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투자가 급증했다. 이는 태국 정부의 디지털 경제 전환 및 탄소중립 전략, 그리고 EEC(동부경제회랑)를 중심으로 한 인프라 확충 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된 결과로 해석된다. 전체 외국인 투자 중 약 92%가 정부 지정 12대 전략산업에 집중됐으며, 투자 지역은 라용·촌부리 등 동부 지역에 편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북부·북동부 등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투자 유치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한편, 우리나의 투자 승인 금액은 전년 대비 123% 증가했지만 전체 비중은 약 1%에 불과해 홍콩, 중국, 싱가포르 등 주요 투자국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다. 향후 한국 기업은 디지털, 친환경, 의료 등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태국 투자청의 인센티브를 적극 활용해 EEC는 물론 지방 지역까지 투자 기회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출처 : KOTRA 방콕 무역관]

전체 78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78
New 소비자확신지수 4개월 연속 하락, 2년래 최저
thaihanin | 2025.06.13 | 추천 0 | 조회 6
thaihanin 2025.06.13 0 6
77
New 방콕 컨벤션 개최도시 세계 7위
thaihanin | 2025.06.13 | 추천 0 | 조회 7
thaihanin 2025.06.13 0 7
76
전자증권 (Electronic Securities) 법안 내각에서 승인
thaihanin | 2025.06.12 | 추천 0 | 조회 3
thaihanin 2025.06.12 0 3
75
태국 수출 3분기 둔화 전망
thaihanin | 2025.06.11 | 추천 0 | 조회 9
thaihanin 2025.06.11 0 9
74
주간 경제소식 250611 - korchamthai
thaihanin | 2025.06.11 | 추천 0 | 조회 10
thaihanin 2025.06.11 0 10
73
태국 가계 부채, 2024년 4분기 16조 4,200억 바트, GDP의 88.4%
thaihanin | 2025.06.09 | 추천 0 | 조회 14
thaihanin 2025.06.09 0 14
72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6.2.~25.6.6.)
thaihanin | 2025.06.09 | 추천 0 | 조회 13
thaihanin 2025.06.09 0 13
71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내용 (25.6.2.~6.6.)
thaihanin | 2025.06.06 | 추천 0 | 조회 13
thaihanin 2025.06.06 0 13
70
성장하는 태국의 국제학교
thaihanin | 2025.06.04 | 추천 0 | 조회 18
thaihanin 2025.06.04 0 18
69
태국-베트남 연결 R12 고속도로 건설 계획
thaihanin | 2025.06.04 | 추천 0 | 조회 11
thaihanin 2025.06.04 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