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동향안내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4.1.~25.4.7.)
□ 붕괴된 방콕 건물에 부실 철강 자재 사용 의혹 (4.1, Bangkok Post)
o 건설 중인 태국 감사원(State Audit Office) 건물이 지진으로 붕괴된 방콕내 유일한 고층건물로 확인된 가운데, 태국 내무부 장관 아누틴(Anutin Charnvirakul)은 합작 시공사인 Italian-Thai Development Plc와 China Railway No.10 Engineering Corp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일주일 내 붕괴원인을 파악할 것이라고 발표함. 한편, 해당 건물에 철강 자재를 공급한 중국 지분 80%의 Xin Ke Yuan Steel이 작년 12월 안전 기준 위반으로 운영이 중단된 바 있으며, 붕괴된 건물에 사용된 일부 철근이 품질 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드러나, 태국 당국은 시공사 및 자재 공급업체 선정 방식 전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할 예정임.
※ 태국은 ‘97년 치앙마이, 치앙라이, 깐짜나부리 등 10개 지진 위험 도시를 시작으로 15m 이상 건물에 대한 내진 설계를 의무화했으며, ‘08년 수도권(방콕 포함)에 이어‘21년 총 40개 도시로 이를 확대 도입함. 내진 설계 강도는 명확히 규정되지 않았으나, 대부분 건물이 규모 7.0-7.5 지진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됨.
□ 美, 태국에 36% 상호관세... 패텅탄“경제 협력 유지” (4.3, Nation Thailand)
o 지난 3일(태국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에 대해, 패텅탄 태국 총리는 “미국이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관련 조치를 취한 필요성을 이해”하며, “태국은 장기적인 무역 균형 및 안정을 구축하고 상호 성장을 위해 협력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성명을 통해 발표함. 또한 태국이 미국의 농산물을 수입해 가공 후 재수출하거나, 미국 내 데이터센터 및 AI 산업 지원을 위해 태국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공급하는 등의 협력 방안 을 제시함. 한편, 태국 상무부는 상호관세로 인한 태국 경제 피해가 8,800억 바트(약 $260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미국산 사료, 대두, 쇠고기, 주류 등 수입 확대와 타이항공(Thai Airways)의 미국산 항공기 수입, 태국석유공사(PTT)의 미국산 원유, 천연가스, 액화가스 수입 등 협력 방안을 미국 측과 시일 내 논의할 것이라 밝힘.
□ 2분기 물가상승률 급감 전망 (4.4, Bangkok Post)
o 태국 상무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0.84% 상승해 12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고 발표함. 분기별 물가상승률은 1분기 1.08%에서 2분기 0.14-0.15%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생계비 완화 조치, 두바이유 가격 하락, 전년 채소 및 계란 가격 고점, 기상 호조로 인한 농산물 공급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됨. 상무부는 미국 관세 영향을 반영해 5월 초 연간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조정할 계획임. 한편, 3.28일 지진의 물가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464개 품목 중 즉석식품, 생수, 위생용품, 의약품을 포함한 약 95%가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태국 월평균 가계 지출은 21,027바트(약 $615.54)로, 월세‧전기세 등 거주 관련 지출(24.65%, 5,183바트)과 교통‧통신비(22.50%, 4,731바트)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태국-부탄 FTA 체결 (4.4, Bangkok Post)
o 태국과 부탄이 지난 3일 자유무역협정(FTA)을 공식 체결함. 이는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의 FTA에 이어 피차이(Pichai Naripthaphan) 상무부 장관 취임 이후 두 번째 FTA 체결로, 태국의 전체 FTA 체결 수 는 17건으로 증가함. 부탄에게는 남아시아 역외 국가와 체결한 첫 FTA임. 양국 교역액은 총 4억 6천만 바트 수준이며, 태국의 수출금액은 약 4억 5,700만 바트로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및 부품, 밀가루 가공품 등이 있음. □ 태국 재무부, 다음 주 관세 협상 위해 방미 (4.7, Bangkok Post)
o 패텅탄 총리는 지난 6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36%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산 에너지, 항공기,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검토할 것이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미국 측과 공식‧비공식 협의를 이어오고 있다고 밝힘. 미국의 관세 조치로 태국의 전자기기, 가공식품, 농산물 수출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패텅탄 총리는 다음 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Pichai Chunhavajira)이 미국을 방문해 미 정부 및 기업들과 무역 이슈를 논의하고, 태국이 장기적 경제 동맹국임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힘.
□ 태국 재무부, 다음 주 관세 협상 위해 방미 (4.7, Bangkok Post)
o 패텅탄 총리는 지난 6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36%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산 에너지, 항공기,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검토할 것이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미국 측과 공식‧비공식 협의를 이어오고 있다고 밝힘. 미국의 관세 조치로 태국의 전자기기, 가공식품, 농산물 수출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패텅탄 총리는 다음 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Pichai Chunhavajira)이 미국을 방문해 미 정부 및 기업들과 무역 이슈를 논의하고, 태국이 장기적 경제 동맹국임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힘.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28 |
New 온라인 불벌 거래 13만 계좌 강제 폐쇄
thaihanin
|
2025.04.17
|
추천 0
|
조회 14
|
thaihanin | 2025.04.17 | 0 | 14 |
27 |
Suvarnabhumi 공항 세계 39위로 상승
thaihanin
|
2025.04.12
|
추천 0
|
조회 38
|
thaihanin | 2025.04.12 | 0 | 38 |
26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4.8.~25.4.10.)
thaihanin
|
2025.04.10
|
추천 0
|
조회 44
|
thaihanin | 2025.04.10 | 0 | 44 |
25 |
태국 경제관련 현지 언론동향 (25.4.1.~25.4.7.)
thaihanin
|
2025.04.08
|
추천 0
|
조회 41
|
thaihanin | 2025.04.08 | 0 | 41 |
24 |
나레수언대학 미국인 교수, 왕실모독죄로 조사 중
thaihanin
|
2025.04.07
|
추천 0
|
조회 39
|
thaihanin | 2025.04.07 | 0 | 39 |
23 |
태국 우체국 이용객 1,900만 명 정보 유출, 사이버 범죄 억제 강화
thaihanin
|
2025.04.05
|
추천 0
|
조회 55
|
thaihanin | 2025.04.05 | 0 | 55 |
22 |
태국 언론 정치정세 주요 내용 (25.3.29.~4.4.)
thaihanin
|
2025.04.05
|
추천 0
|
조회 74
|
thaihanin | 2025.04.05 | 0 | 74 |
21 |
최근 6개월간 월 평균 10만개 이상 불법 사이트 강제 폐쇄
thaihanin
|
2025.04.05
|
추천 0
|
조회 61
|
thaihanin | 2025.04.05 | 0 | 61 |
20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태국 동향
thaihanin
|
2025.04.04
|
추천 0
|
조회 78
|
thaihanin | 2025.04.04 | 0 | 78 |
19 |
지진 피해 34개 건물 파손 출입 금지, 4.0 이상 지진 발생 세계 59위
thaihanin
|
2025.04.03
|
추천 0
|
조회 55
|
thaihanin | 2025.04.03 | 0 | 55 |